Tuesday 28 October 2025
Home      All news      Contact us      RSS      English
ohmynews - 3 days ago

23년 차 국어교사가 말하는 문해력 기르는 법, 사교육 은 답 아닙니다


코로나19 이후 매년 국어 미달 이 늘고 있다. 작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에서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2학년의 국어 과목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각 10.1%, 9.3%로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통상 기초학력 미달 은 해당 과목 내용의 20% 정도만을 이해하는 수준으로 해석한다. 중·고등학생 10명 중 한 명은 국어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는 셈이다.

지난 10일 만난 23년 차 중등학교 국어 교사인 배혜림 작가 또한 코로나19 이후로 확실히 아이들의 어휘력이 많이 약해졌다는 걸 느낀다 라며 독서 활동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지난 9월 25일 출간된 신간 lt;어서 와, 중등 비문학은 처음이지? gt;를 포함해 lt;중등 문해력의 비밀 gt;, lt;교과서는 사교육보다 강하다 gt; 등 총 스무 권이 넘는 국어 과목 관련 저서를 집필한 배 작가와 문해력을 기르는 독서 활동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문해력은 입시 이후의 삶에서 더 중요해요

- 문해력의 중요성을 느낀 계기가 무엇인가요?

제자들 중 이미 사회에 나간 아이들이 많아요. 그 아이들을 보면 시험문제를 푸는 능력보다 스스로 정보를 해석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훨씬 중요하다는 확신이 듭니다. 문해력을 갖춘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도적이에요. 학생과 학부모님 모두 문해력을 기르는 독서 활동이 시험 대비 이상의 가치가 있다는 점을 잊지 않으셨으면 해요. 문해력은 입시 이후의 삶에서 더 중요해요.

배 작가는 문해력 을 토양을 다지는 작업 에 비유했다. 학생 개개인이 삶 전반을 단단히 다지기 위해서는 꾸준한 독서 활동을 통해 기른 문해력이 필요하다. 세상을 이해하는 힘,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게 표현하는 힘,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힘은 모두 문해력에서 비롯된다는 게 배 작가가 23년째 국어과 교사를 하며 얻은 깨달음이다. 배 작가는 여러 저서를 통해 문해력을 길러줄 수 있는 독서-독해-글쓰기 에 이른 독서 활동을 권장한다.

- 독서 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있을까요?

스스로 독서의 즐거움을 찾아서 책을 읽는 학생들도 있지만 어떻게 독서해야 하는지, 무엇을 읽어야 하는지 모르는 학생들도 많아요. 학생 스스로 흥미와 수준에 맞춘 책을 찾는 것도 좋지만, 이 학생들의 곁에서 양육자가 환경을 구성해 준다면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어요.

특히, 학생의 나이가 어릴수록 양육자가 보여주는 생활 방식과 언어 습관이 큰 영향을 미쳐요. 양육자가 책을 즐겨 읽고, 다양한 어휘를 사용해 아이와 자주 대화하면 그 모습이 자연스럽게 전해집니다. 중요한 건 옆에서 독서 환경을 만들고, 독서 경험을 이끌어 주는 조력자가 되어야지, 감독자가 되어서는 안 돼요. 어렸을 적 공부하라는 잔소리를 들으면 하려다가도 하기 싫어지는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 독서도 마찬가지예요.

-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하겠네요.

초등~중등 시기에 아이가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관심사와 수준에 적합한 책을 함께 찾아주는 것을 추천해요. 그런 면에서 전집보다 한두 권씩 단행본으로 읽는 것이 좋습니다. 전집은 맞춤형 독서를 하기에 적합하지 않아요. 단행본으로 시작해서 잘 읽으면 2~3권짜리 시리즈로 책의 권수를 점점 늘려주세요.

책을 아예 읽지 않는 학생이라면 만화책이라도 읽는 것이 낫다. 일단 책에 대한 흥미를 갖는 게 중요하고, 만화책이라도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는 역사를 다루거나 어휘를 늘릴 수 있는 천자문을 다룬다면 더욱 가치 있기 때문이다. 대신, 만화책에 익숙해졌다면 100~200페이지 얇은 소설책으로 옮겨가야 한다. 배 작가는 이꽃님 작가의 소설이나, 창비의 소설의 첫 만남 시리즈를 만화에서 소설로 옮겨가는 단계의 학생들에게 추천했다.

중학교 때부턴 학년마다, 학생마다 독서 수준이 천차만별이에요. 학생의 흥미, 수준에 맞춰 독서 경험을 차근차근 쌓아 독서에 대한 자신감을 심는 게 중요합니다. 시중의 학년별 권장 도서 목록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대부분의 권장 도서 목록은 제 학년보다 1년 정도 높은 수준을 제시합니다. 처음엔 2개 학년 정도 낮은 수준의 책을 읽어보고 수준을 가늠해 보세요.

또, 가능하다면 중학교 때까지 독서 습관을 잡는 것이 좋아요. 고등학생 땐 입시로 바쁘기 때문에 독서 습관을 형성하기보단 독서 능력을 출력해야 하는 시기거든요.

전체 내용보기


Latest News
Hashtags:   

국어교사가

 |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