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30 October 2025
Home      All news      Contact us      RSS      English
ohmynews - 3 days ago

대전 금고동 골프장 추진, 원점 재논의하라 시민단체 한목소리


대전시가 추진 중인 금고동 공공형 골프장 건설 계획을 두고 지역 시민단체들이 주민 수용성과 지속가능성 검토 없는 일방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고 촉구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환경운동연합은 27일 공동 성명을 내고 대전시는 금고동 골프장 조성 사업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고, 주민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공론 절차를 새로 설계해야 한다 고 밝혔다.

앞서 대전시는 지난 9월 30일 유성구 구즉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금고동 공공 체육시설(골프장) 조성 관련 토론회를 열었다. 대전시 도시계획과는 시민단체 등에 참석을 요청하며 체육시설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해소와 다양한 의견 수렴이 목적 이라고 설명했다는 것.

그러나 단체들은 토론자만 17명, 1인당 발언 시간 5분에 불과한 형식적 행사였다 며 국토부 용역 절차를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하다 고 비판했다.

단체들은 특히 이번 토론회가 제1매립장 사후 활용 사업과 함께 설명되며, 마치 매립지 환원 사업의 일부인 양 혼선을 줄고 있다 고 지적했다. 이어 제1매립지는 안정화에 최소 5~10년이 필요해 별개의 사업임에도, 시가 두 사업을 매립지 활용=골프장 으로 포장하고 있다 고 주장했다.

이들은 환경적 우려도 제기했다. 단체들은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541개 골프장에서 202톤의 농약이 사용됐으며, 90% 이상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됐다 며 금고동 일대는 이미 환경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추가적인 환경부담은 주민 삶의 질을 더 악화시킬 것 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단체들은 대전시에 세 가지 원칙을 요구했다. ▲매립지 사후 활용 사업과 골프장 사업의 명확한 분리 설명 ▲사업 필요성·수익·환경영향 등 정보 공개 ▲우회도로·토지매입·생활SOC 등 주민 편익의 선행 보장 등이 이들의 요구다.

아울러 이들은 금고동 골프장은 신재생에너지 단지, 체육공원 등 다양한 대안 검토 없이 골프장 으로 결론 난 사업 이라며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행정 편의적 결정 이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이들은 대전시는 사업 강행을 멈추고, 피해 최소화와 주민 이익 보장을 전제로 한 숙의형 공론화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며 지역주민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진정한 공공정책 논의로 전환하라 고 촉구했다.

전체 내용보기


Latest News
Hashtags:   

재논의하라

 |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