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염둥이 로리와 함께 화성시 향남복합문화센터 도서관으로 향했다. 오늘은 어떤 그림책을 만날까? 손자의 손을 잡고 현관 앞에서 하나, 둘, 셋! 하자 도서관 문이 열렸다. 어? 현관문이 열리자 신비한 거울 하나가 우리를 맞았다. 천정에 설치된 조형물도 있었다. 뭐지?
로비 중앙에 설치된 그 거울은 단순한 반사면이 아니었다. 눈처럼 생긴 원형 장치가 미묘하게 움직이며 우리를 응시했다.
할머니! 무슨 일이야? 왜 여기에 이런 게 있지?
포스트모던 요괴 연대기
도서관 출입구 옆에는 포스트모던 요괴 연대기 라는 포스터가 세워져 있었다. 10월 28일부터 12월 7일까지, 경기도 화성시 향남복합문화센터(향남복합문화도서관)에서 열리고 있는 특이한 전시회를 로리와 나는 얼떨결에 관람하게 된 것이다. 이 전시는 화성시문화재단과 플랫폼 에이가 공동 주최한 2025 밖에서 만난 예술사업 기획전시였다.
도서관에 책을 빌리러 왔다가 뜻밖의 전시를 만났으니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벽면엔 귀엽고 기묘한 요괴 캐릭터들이 가득했고, 색과 형태는 장난스럽지만 어딘가 불안했다. 기이하고 요괴스러우면서도 앙증맞고 귀여운, 그 모호한 이중성이 전시장 전체를 감싸고 있었다.
열 한 명의 작가가 선보이는 100여 점의 작품 속에는 한국 고전 설화의 요괴들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있었다. 익숙하면서도 낯선, 웃기지만 조금 무서운 존재인 요괴, 도깨비, 귀신, 이들은 모두 현대의 감정과 사회를 상징하는 포스트모던 요괴 였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요괴들과 친해져 볼까?
정우원의 The Abyss ― 나를 응시하는 거울
가장 먼저 발걸음을 붙잡은 건 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만난 정우원 작가의 작품 The Abyss 였다. 그것은 일반적인 거울이 아니다. 거울 속에는 실제로 움직이는 키네틱 미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관람자가 거울을 바라보는 순간, 거울 역시 동시에 나를 바라본다. 그 순간 나는 보는 자 에서 보이는 자 로 바뀐다.
나는 로리와 그 앞에 서 있었다. 빛이 깜박이고, 거울 속 동공이 미묘하게 흔들렸다. 눈동자 같은 금속 표면이 떨릴 때, 내 얼굴이 낯설게 변해가는 것을 보았다. 익숙한 현실이 순식간에 요괴의 세계로 변하는 순간이었다.
한마디로 정우원의 거울은 시선의 요괴 다. 인간과 기계, 관람자와 피관찰자 사이의 경계를 허문다. 그 속에서 느낀 빨려 들어가는 감각, 그것은 현대인의 불안과 자기 응시의 메타포였다. 로리는 한 번만 더, 한 번만 더 하면서 자꾸만 그 거울 속으로 들어가고 싶다고 한다.
우자이의 가방 할아범 ― 웃음 속의 공포
전체 내용보기
Saturday 1 November 2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