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금호씨는 지난 2006년 lt;초등학교 야구부 활성화 방안 연구 gt;라는 석사학위논문(강원대 교육대학원)에서 당시 초등학교 야구팀과 선수가 감소한 이유 중의 하나로 경제적 비용 을 들면서 야구는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경기종목으로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지원해주기 어렵다 라고 지적했다. 특히 학부모가 느끼는 야구부의 문제점을 다중 응답 분석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재정적인 부담 이 1순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정적인 부담을 진로가 아직 결정되지 않을 시기인 초등학교에서만이라도 교육청·학교에서 지원을 해주었으면 하는 것이 학부형들의 바람으로 보인다. 또 재정적인 문제로 인하여 학교, 학부형, 지도자와의 갈등이 자주 일어나는 것이 현재 초등학교 야구부의 현실이다. (54쪽)
이 논문이 나온 지 15년이 지난 지금은 초등학교 야구부의 1순위 문제였던 재정적인 부담 이 해결됐을까? lt;오마이뉴스 gt;가 서울 강남의 한 초등학교 야구부의 회계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야구부 학부모회가 1년에 부담하는 비용이 최소 2억 3500여 만 원에 이르렀다. 서울 강남 이라는 특수성을 헤아리더라도 야구부 선수를 둔 학부모들의 부담이 여전히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야구부 선수 30명 안팎, 월 정기회비 규모 1800만 원 수준
lt;오마이뉴스 gt;는 지난 9월 16일 lt;교육지원청, 왜 강남의 초등학교 야구부 감사에 나섰나 gt;라는 기사를 통해 ▲불공정한 12세 이하(U-12) 국가대표 선발 ▲학부모로부터의 금품 수수 ▲학부모에게 세탁을 맡기는 등의 갑질(지위남용) ▲학부모에게 국민의힘 당원 가입 요구 등 서울 강남 소재 D초등학교 야구부 K감독을 둘러싼 의혹들과 함께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이 이례적으로 해당 학교를 이틀 동안 실지감사를 벌였다고 보도한 바 있다. (관련 기사 : 교육지원청, 왜 강남의 초등학교 야구부 감사에 나섰나 https://omn.kr/2f9lw)
lt;오마이뉴스 gt;는 이 내용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D초등학교 야구부 학부모회에서 작성한 회계자료의 일부를 입수했다. 이는 2020년(3개월치)과 2021년(11개월치), 2023년(6개월치) D초등학교 야구부 운영비 지출내역들에 관한 자료다. 이 회계자료를 작성한 야구부 학부모회는 야구부 발전 도모, 회비를 통한 야구부 재정 확보, 야구부의 원활한 운영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로 야구부에 소속돼 활동하고 있는 재학생들의 학부모가 회원이다. 1년 임기의 임원으로 회장과 총무, 감사를 두고 있다.
야구부 학부모회 규약 제2장(회원)와 제5장(재정)에 따르면 야구부 학부모회의 재정은 정기회비와 특별회비 등으로 충당하고, 이를 위해 매달 정기회비, 특별회비, 기타 모든 제반 경비 가 포함된 회비를 내야 한다. 정기회비는 인건비, 식대 및 간식비, 야구부 운영 소모품비, 물품구입비 등에 사용되고, 특히 인건비에는 수석코치, 보조코치 등 지도자들의 급여, 성과상여금, 4대보험기관 부담금 등이 포함된다. 정기회비는 야구부 운영을 위한 재정의 중심축이다.
야구부 학부모회 규약(제5장 제18조)에는 정기회비는 학년별로 아래표를 기준으로 차등하여 부과하며 매달 스쿨뱅킹으로 해당금액을 징수하여 집행한다 라고 적시돼 있다. 이에 따라 2020년에는 3학년 이하 45만 원, 4학년 50만 원, 5학년 56만 원, 6학년 62만 원의 정기회비를 냈다. 2021년과 2023년에는 정기회비가 5만 원씩 올라 각각 50만 원/55만 원과 55만 원/60만 원, 61만 원/66만 원, 67만 원/72만 원을 부담했다. D초등학교 야구부 선수는 30명 안팎으로 이들이 내는 월 정기회비 규모는 총 1800만 원 안팎이다. 이를 연단위로 환산하면 2억 1600만 원에 이르는 규모다.
K감독, 보너스와 퇴직금 등 합쳐 1466만 9160원~1769만7220원
전체 내용보기
Friday 17 October 2025
⁞
